2-3. 자료형과 형 변환
2022. 6. 7. 16:47ㆍReact/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(React.js)
1. 자료형
값을 성질에 따라 분류한 것
✨ 자바스크립트의 자료형
1) Primitive Type(원시 타입)
let number = 12;
한번에 하나의 값만 가질 수 있음
하나의 고정된 저장 공간 이용
2) Non-Primitive Type(비원시 타입)
let array = [1,2,3,4];
한번에 여러 개의 값을 가질 수 있음
여러개의 고정되지 않은 동적 공간 사용
🎠 원시타입
1. 숫자형 타입
let age = 25;
let tall = 175.9;
let inf = Infinity;
let minusInf = -Infinity;
let nan = NaN;
console.log(age * tall);
2. 문자형 타입
let name = "winterlood";
let name1 = "이정환";
let name2 = `winter ${name1}`; // template literal이라고 부름
console.log(name2); //winter 이정환
3. Boolean형 타입
let isSwitchOff = false;
console.log(isSwitchOff); //false
console.log(!isSwitchOff); //true
4. Undefined, Null형 타입
let a;
console.log(a); //undefined
let b = null;
console.log(b); //null
✨ 형변환 - 값은 유지하면서 자료형만 변환
let numA = 12;
let numB = 2;
console.log(numA * numB); // 24
let numC = 12;
let numD = "2";
console.log(numC * numD); // 24
// 숫자*문자인데 숫자*숫자의 값이 나옴
// 자동으로 숫자로 인지한 것 - 보통 이렇게 자동적으로 묵시적으로 형변환을 함
console.log(numC + numD); // 122
// 더하기임으로 문자로 붙여줌
// 숫자를 문자로 변형해서 적용
console.log(numC + parseInt(numD)); // 14
// 숫자로 변경해서 진행함
// 이렇게 의도적으로 변형하는 것을 명시적 형변환이라고 한다.
출처자료
https://www.c-sharpcorner.com/article/datatypes-in-javascript/
'React > 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(React.js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-5. 조건문 (0) | 2022.06.08 |
---|---|
2-4. 연산자 (0) | 2022.06.08 |
2-2. 변수와 상수 (0) | 2022.06.07 |
2-1. Helloworld (0) | 2022.06.07 |
React 소개 (0) | 2022.06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