함수의 유효 범위

2023. 1. 2. 13:53Javascript/TCP school

함수의 유효 범위(function scope)

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 블록 내에서 정의된 변수를 블록 외부에서는 접근할 수 없음

블록(block) - 코드 내에서 중괄호({})로 둘러싸인 부분

블록 단위의 유효 범위 - 블록을 기준으로 하는 유효 범위

 

자바스크립트는 다른 언어와는 달리 함수를 블록 대신 사용

함수 - 자신이 정의된 범위 안에서 정의된 모든 변수 및 함수에 접근할 수 있음

 

'전역 함수' - 모든 전역 변수와 전역 함수에 접근할 수 있음

'내부 함수(다른 함수 내에 정의)' - 그 함수의 부모 함수(parent function)에서 정의된 모든 변수 및 부모 함수가 접근할 수 있는 모든 다른 변수까지도 접근할 수 있음

 

예제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
<head>
	<meta charset="UTF-8">
	<title>JavaScript Function Scope</title>
</head>

<body>

	<h1>함수의 유효 범위</h1>

	<script>
		// x, y를 전역 변수로 선언함.
		var x = 10, y = 20;

		// sub()를 전역 함수로 선언함.
		function sub() {
			return x - y;		// 전역 변수인 x, y에 접근함.
		}
		document.write("전역 함수에서 x - y의 값은 " + sub() + "입니다.<br>");

		// parentFunc()을 전역 함수로 선언함.
		function parentFunc() {
			var x = 1, y = 2;	// 전역 변수와 같은 이름으로 선언하여 전역 변수의 범위를 제한함.

			function add() {	// add() 함수는 내부 함수로 선언됨.
				return x + y;	// 전역 변수가 아닌 지역 변수 x, y에 접근함.
			}
			return add();
		}
		document.write("내부 함수에서 x + y의 값은 " + parentFunc() + "입니다.<br>");
	</script>
	
</body>

</html>

 

JavaScript Function Scope

함수의 유효 범위


함수 호이스팅(hoisting)

함수의 유효 범위 - 함수 안에서 선언된 모든 변수는 함수 전체에 걸쳐 유효하다는 의미

 

유효 범위의 적용이 변수가 선언되기 전에도 똑같이 적용

이러한 자바스크립트의 특징을 함수 호이스팅(hoisting)

함수 안에 있는 모든 변수의 선언은 함수의 맨 처음으로 이동된 것처럼 동작

예제
var globalNum = 10;     // globalNum을 전역 변수로 선언함.
function printNum() {
    document.write("지역 변수 globalNum 선언 전의 globalNum의 값은 " + globalNum + "입니다.<br>"); // ① //undefined
    var globalNum = 20; // globalNum을 지역 변수로 선언함. // ②
    document.write("지역 변수 globalNum 선언 후의 globalNum의 값은 " + globalNum + "입니다.<br>"); // 20
}
printNum();

코딩연습 ▶

 

위의 예제 ①의 시점에서는 변수 globalNum가 전역 변수를 가리킨다고 생각하기 쉽다.

하지만 자바스크립트 내부에서는 함수 호이스팅에 의해 다음과 같이 코드가 변경되어 처리된다.

 

호이스팅 후의 코드
var globalNum = 10;
function printNum() {
    var globalNum; // 함수 호이스팅에 의해 변수의 선언 부분이 함수의 맨 처음 부분으로 이동됨.
    document.write("지역 변수 globalNum 선언 전의 globalNum의 값은 " + globalNum + "입니다.<br>");
    globalNum = 20;
    document.write("지역 변수 globalNum 선언 후의 globalNum의 값은 " + globalNum + "입니다.<br>");
}
printNum();

위의 예제 ①의 시점에서는 globalNum라는 지역 변수가 선언만 되어 있고, 아직 초기화만 안 된 상태

따라서 이때 globalNum 변수에 접근하면 아직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에 접근했으므로, undefined 값을 반환

실제로 변수가 초기화되는 시점은 원래 코드에서 변수가 선언된 ②의 시점

 

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 호이스팅이 자동으로 수행되지만, 항상 함수 블록의 첫 부분에 변수를 선언하는 것이 좋음

참고

http://www.tcpschool.com/javascript/js_function_functionScope

 

'Javascript > TCP schoo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미리 정의된 전역 함수  (0) 2023.01.03
매개변수와 인수  (0) 2023.01.02
변수의 유효 범위  (0) 2023.01.02
함수의 기초  (0) 2023.01.02
배열의 활용  (0) 2022.12.3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