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-7. 함수 표현식 & 화살표 함수

2022. 6. 9. 14:34React/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(React.js)

이렇게 함수를 출력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.

이렇게 함수를 변수에 담아서 하면되는데 이것을 --> 함수 표현식

 

함수 표현식 VS 함수 선언식

console.log(helloB()); //안녕하세요. 여러분B
// 아래에서 선언한 것을 위에서 쓸 수 있는데 이것을 hoisting이라고 한다.
// 함수 선언식으로 한것은 코드의 최 상단으로 끌어올려진다고 생각하면 된다.
console.log(helloA()); //TypeError: helloA is not a function !!!
// 함수 표현식은 위로 들고와서 선언해야 에러가 안난다!
// hoisting에 속하지 않는다.

let helloA = function () {
  return "안녕하세요. 여러분A";
}; // 함수 표현식

function helloB() {
  return "안녕하세요. 여러분B";
} // 함수 선언식

화살표 함수 --> 얘도 hoisting 대상이 아니다

let helloA = function () {
  return "안녕하세요. 여러분A";
};
console.log(helloA());

// 화살표 함수
// 얘도 hoisting 대상이 아니다.
let helloB = () => "안녕하세요. 여러분B";
console.log(helloB());

호이스팅(hoisting) - 코드에 선언된 변수 및 함수를 코드 상단으로 끌어올리는 것

'React > 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(React.js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-9. 객체  (0) 2022.06.17
2-8. 콜백함수  (0) 2022.06.17
2-6. 함수  (0) 2022.06.09
2-5. 조건문  (0) 2022.06.08
2-4. 연산자  (0) 2022.06.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