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(334)
-
누구든지 하는 리액트 2편: 리액트 프로젝트 시작하기
리액트 프로젝트는 보통 우리가 옛날에 jQuery 같은것을 단순히 의 형태로 불러와서 사용했던 것 처럼 사용하지는 않습니다. 그렇게 하려면 할 수 는 있는데 굉장히 제한적입니다. 그 대신에, 리액트 프로젝트를 제대로 작업 하려면 여러분의 컴퓨터에 Node, yarn, Webpack, Babel 등의 도구를 설치하여 프로젝트를 설정해주어야 합니다. 리액트 프로젝트를 바닥부터 설정하는 것은 초심자에겐 꽤나 복잡한 작업입니다. 다행히도, 페이스북에서 제공해주는 도구create-react-app를 통하여 이 작업을 간단하게 준비해줄 수 있답니다. Webpack, Babel 은 무슨 용도인가요? 리액트 프로젝트를 만들게 되면서, 컴포넌트 를 여러가지 파일로 분리해서 저장 할 것이고, 또 이 컴포넌트는 일반 자바스..
2023.04.05 -
시작!
아래는 이번 강의의 대시보드가 작성된 주소이다. https://velopert.com/3613 누구든지 하는 리액트: 초심자를 위한 리액트 핵심 강좌 | VELOPERT.LOG 이 튜토리얼은 리액트를 1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 만약에 여러분이 리액트를 배우고 싶은데, 아직 뭐가 뭔지 잘 모르겠다! 그렇다면 이 튜토리얼을 진행하고 나면 리액트가 무 velopert.com
2023.04.05 -
자바스크립트 제대로 배우자4
클래스 클래스 1 class로 클래스를 정의하고, constructor로 생성자를 정의할 수 있다. 생성자 안에서 this를 이용해서, 멤버 변수를 정의할 수 있다. 밑에는 메서드를 정의하고있다. sayHello 메서드 안에서는 this로 멤버 변수에 접근할 수 있다. $(this.name) 클래스를 이용해 객체를 만들 때에는 new 키워드를 만들면된다. new Person의 'mike'는 생성자의 매개변수로 전달이된다. 이렇게 만들어진 객체로 위에서 정의한 메서드를 호출할수있다. class Person { constructor(name) { this.name = name; } sayHello() { console.log(`hello~ ${this.name}!`); } } const person = ne..
2023.04.04 -
자바스크립트 제대로 배우자3
섹션 6. 제너레이터 제너레이터 1 (iterable, iterator) 함수의 실행을 중간에 멈추고, 재개할 수 있는 독특한 기능 실행을 멈출 때 값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, 반복문에서 제너레이터가 전달하는 값을 하나씩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. 이는 배열이 반복문에서 사용되는 방식과 같음 다만 제너레이터는 배열과 달리 값을 미리 만들어 놓지 않는다. (값을 미리 만들어놓으면, 불필요하게 메모리를 사용하는 단점이 있기에) 제너레이터를 사용하면, 필요한 순간에 값을 계산해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 측면에서 효율적 *와 함께 정의된 함수와 함수가 반환하는 제너레이터 객체로 구성이 된다. 제너레이터 함수 안에서 yield 키워드를 사용하면, 함수의 실행을 멈출 수 있다. function* f1() {..
2023.04.03 -
자바스크립트 제대로 배우자2
잠깐, 참고하자 https://frontj.com/entry/7-Javascript%EC%9D%98-this%EC%99%80-execution-context 7. Javascript의 this와 execution context this와 execution context 자바스크립트의 혼란스러운 개념 중 하나로 this키워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더불어 실행 컨텍스트(execution context)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. 실행 컨텍스트 또한 frontj.com https://frontj.com/entry/8-Javascript%EC%9D%98-%EC%BD%9C-%EC%8A%A4%ED%83%9D%EA%B3%BC-%EC%9D%B4%EB%B2%A4%ED%8A%B8-%EB%A3%A8%ED%94%84 ..
2023.04.02 -
자바스크립트 제대로 배우자
섹션 1. 변수 선언 var의 문제점 정의 된 변수가 함수 스코프(변수가 사용될 수 있는 영역 - 변수가 정의된 위치에 의해 결정됨)를 가진다. 함수 스코프이기 때문에, 함수를 벗어난 영역에서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한다. function example() { var i = 1; } console.log(i); >> 에러가 나게 된다. i 가 정의되지않았다고! 레퍼런스 에러! 프로그램의 가장 바깥에 정의하면 전역변수가 된다. 함수안에서 var를 이용하지않고, 변수에 값을 할당하면 그 변수는 전역변수가 된다. 그래서 다른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. function example1() { i = 1; } function example2() { console.log(i); } example1(); exampl..
2023.03.31